분당아재의 솔직한 블로그

아토스, 마티즈 등 경차를 타지 않아야 하는 이유

IT산책
기름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어서인지 경차에 대한 관심이 다시 일고 있다.
그러나, 이웃나라 일본처럼 경차가 활성화되고 있진 않다.
과거 경차가 반짝 유행을 했을 때 아토스, 마티스, 비스트 등 800cc 이하 경차가 몇 종 있었으나 지금은 딱 마티스 한 차종이다. 물론 내년에 1000cc도 경차에 포함되면 모닝도 포함되겠지만....

왜 그럴까? 왜 이렇게 경차가 안 팔릴까?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모 신문의 기사처럼
정부는 돈 덜 번다.
기업은 돈 안된다.
소비자 폼 안난다.
가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정부는 환경도 중요하지만 유류세 등 세금이 덜 걷힐까봐 경차에 대한 혜택에 대해 민감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혜택이 그렇게 크지 않는다면 서민의 입장은 굳이 경차를 선택하지 않을 것이다.

기업은 경차로 돈벌이가 안되기 때문에 일본과 같이 경차에 투자를 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일본처럼 수십종의 경차가 나오질 않는다. 기업은 돈벌이가 좋은 중대형 차종에 집중할 수 밖에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비자는 체면위주로 차를 구입한다. 물론 경차를 구입하고 싶어도 위와 같은 이유로 고를 차종이 없기 때문에 경차를 안사기도 하지만 체면 때문에 안사는 것이 더 큰 이유일 것이다.

97년 가을에 아토스가 출시되자마자 한달정도 기다렸다가 아토스를 구입했다.
물론 2007년 오늘 그 아토스를 지금도 타고 있다. 주행거리 약 11만Km를 넘어서 12만Km를 향하고 있다.
10년쯤 되니까 이것저것 돈 달라고 아우성을 치고 있지만 아직도 쌩쌩 잘 달린다.

경차를 타면 경험으로 보면 우리나라에서는 알게모르게 경차가 차별받는 건 사실이다.
몇 가지 경험담을 해 보면

1. 패밀리 레스토랑 주차장에서 차별받는다.
양재동 근처에 있는 베니건스를 가족과 함께 가 본적이 있다. 주차장 시설이 잘 되어 있는 곳이라 가끔 이용을 했는데 아토스를 타고 갈 때마다 차별대우를 받아서 몇번 간 후로는 절대로 안 간다.
그 베니건스는 1층에 주차장, 건물 옆에 주차장이 잘 되어 있는 레스토랑이다.
아토스를 타고 가면 넓고 넓은 1층 주차장에는 세우지 못하게 한다. 꼭 구석진 자리, 잘 안보이는 자리에 세우도록 주차안내원이 유도한다. 한번은 날씨가 좀 추워서 아이들이 감기들까봐 입구 가까운 1층 주차장에 세웠더니 이동을 하라고 한다. 1층에는 좋은 차, 외제차, 비싼 차만 세워야 된다나... 자기네 레스토랑 품위가 떨어질까봐 그런 것 같다. 싸구려 경차를 타고 오는 가족이 오는 곳이 아니라는 것이겠지...
비단 그 레스토랑만 아니다. 분당에 있는 TGIF로 그렇다. 아마도 다른 패밀리 레스토랑도 크게 다르지 않을 꺼라 생각한다. 지나친 비약일 지는 모르겠지만....

2. 차선 양보 절대로 안해준다.
말 그대로다. 경차가 차선을 바꿔서 자기 앞에 들어오려고 하면 각종 경고(?)를 준다.
쌍라이트, 경적 등을 울려대며 앞에 못 들어오게 한다. 참내...
사이드 미러로 봤을 때 아주 멀찌감치 떨어져 있어서 깜빡이 켜고 들어가면 속도를 내서 달라붙는다. 그나마 운전을 능숙하게 하니까 끼어들지 약간 부족한 아내가 운전하면 아주 난리가 난다.
경차는 아주 차로 안보는 운전자가 많다. 경차를 타는 운전자 특히 여성운전자들은 그 심정을 알 것이다.

3. 혜택이 그리 많지 않다.
고속도로 통행료 50% 감면을 해 주는 거 말고 크게 와 닿은 부분이 없다. 공영주차장 주차료도 50% 감면을 해 준다고 하는데 실제로 아토스를 몰고가면 주차장에 주차를 아예 못하게 하거나 100% 요금을 내면 주차하게 해준다고 으름장을 놓는 경우가 종종 있다.

4. 경차가 생각보다 연비가 좋지 않다.
마티즈는 모르겠다. 하지만 아토스의 연비는 1리터에 11Km를 겨우 넘을까 말까 였다.
소음크고 연비도 그리 좋지 않고 안정성도 떨어지니 경차를 탈 이유가 없다.
나라에서 경차를 타게 하려면 기업이 안전하고 연비좋은 경차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을 해 줘야 한다. 물론 세금때문에 안 해주겠지만....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는 경차타기 싫다.
그리고 언론에서도 경차를 타야 된다고 홍보하지 말아라. 그렇게 보도하고 기사쓰는 기사들도 절대로 경차타고 보도 안 할 것이다.
경차를 사랑하고 경차를 타게 하려면 우선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그 부분도 서로서로 노력을 해 주었으면 한다.

흔히 나오는 공익광고에 보면 환경은 후대로부터 빌려온 것이라고 한다.
정부는 세금생각하지 말고 환경에 그나마 도움이 되는 경차가 활성화 되도록 정책을 잘 폈으면 좋겠고, 기업도 몇천억씩 현금 쌓아두었다가 비리로 몇천억씩 추징되지 말고 사회 환원을 경차 개발이라는 좋은 모델로 해 주었으면 한다.  우리도 경차타면 싸구려 인생이라는 체면치레를 벗고 남을 인정해 주는 문화가 좀더 널리 확산되었으면 한다.

기름값 인하 가능성... 국회에서 11월에 논의 착수

뉴스 딴지걸기
원유값이 1배럴 100달러를 육박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곳곳에서 유류세 인하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고 있습니다.  배럴과 리터의 관계는 이 포스트를 참고해 주세요.

아직까지 재경부는 어떠한 유류세 인하방안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하고 있습니다만,
국회 재경위 의원들을 중심으로 유류세 인하와 관련된 세법 개정을 논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관심이 모아집니다.

오늘(30일) 국회 재정경제위원회에 따르면 유류세율을 10%인하한다는 내용을 담은 특별소비세법 및 교통세법 개정안이 조세소위 안건으로 상정되었으며, 11월 중순 전체회의에서 집중 논의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현재 정부에서는 휘발유과 경유 등의 세율 인하에 대해서 난색을 표하고 있지만, 여야 의원들이 재경위 소위 및 전체회의와 본회의 의결을 통해 관련 세법 개정안을 의결시키면 유류세 인하는 그대로 시행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보통 TV 보도를 보면 유류세가 OECD 선진국에 비해 그렇게 높지 않다는 내용을 가끔씩 내보내지만 그건 OECD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국민소득이 다르기 때문에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휘발유 가격을 1532원으로 봤을 때(지금은 더 올랐습니다.)
세금이 883원입니다. 기름값 뜯어보기 포스트 참조
10% 인하하면 약 80~90원 정도 내려갈 것입니다.

한나라당의 대전 국감향응에 이어서 대통합민주신당도 향응을 받았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습니다.
맨날 국민들에게 실망감만 안겨주는 국회의원 여러분!!
이번에 제발 적극적으로 검토하셔서 국민들에게 조금이라도 기쁜 소식을 안겨주시길 바랍니다.

휘발유값 리터당 공장도가격 593원, 세금은 883원. 세금 폭탄이다...

뉴스 딴지걸기
기름값 문제는 어제 오늘 이야기가 아니지만 매번 기름값에 붙는 세금을 볼 때마다 참으로 어이가 없다.
또한, 재경부 장관이 "세금을 내리면 휘발유 소비가 늘어난다"며 세금을 내리지 않은 것은 더욱 어처구니가 없다.

정부가 세금을 내리지 않은 진짜 이유는 손쉬운 세원 확보일 것이다. 많은 국민들이 다 알고 있는데 정부가 이를 모르는 척 하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 기름관련 세금으로 23조원이 넘는 돈을 거둬들였다. 우리나라 전체 세금의 20%에 달하는 금액이다.

이 돈을 다 어디다가 썼는지 궁금하다.
이 휘발유에 붙는 세금을 한번 살펴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휘발유가격을 1532원으로 잡을 때,
원가는 593원이고 세금은 883원, 그리고 유통마진이 56원이다.

세금이 원가보다 비싸다.
배보다 배꼽이 훨씬 큰 셈이다.

세금을 조금만 낮추어도 기름값이 이렇게 오르진 않을 것이다.
유가가 100달러, 90달러 간다고 해도
나라가 경제를 잘 운영하고 유류세금이 아닌 회사 법인세, 전문직 고소득자 소득세, 자영업자 소득세 등을 제대로 부과해서 거두어 들인다면 지금처럼 기름값이 높진 않을 것이다.

정부여..
엉뚱한 곳에서 세금걷지 말고 걷을 곳에서 잘 걷어라.

유가폭탄.. 서민살림에 주름살이라고??? 좀 뜯어봅시다.

뉴스 딴지걸기
16일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중질류(WTI) 가격은 장중 배럴당 88.20달러로, 처음 88달러 선을 돌파한 데 이어 전날보다 1.48달러 뛴 87.61 달러에 거래를 마쳤고, 싱가포르에서 거래된 중동산 두바이유 현물 역시 하루만에 2.02달러 급등하며 배럴당 78.59달러로 거래됐다.

유가가 오르면 당연히 서민생활에 부담이 된다. 당장 자동차에 넣을 기름값이 오를테고 원유에서 추출하는 각종 연료의 가격이 뛰게 된다. 참고로 원유에서 추출할 수 있는 것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그림을 보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유값이 많이 오르는 것이 사실이지만 한두가지 딴지를 걸고 싶어진다.

1. 왜 모든 뉴스에서 미국 서부 텍사스 중질유 원유값, 영국 북해산 Brent를 언급할까?
물론 WTI, Brent, Dubai가 세계 3대 원유이긴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주로 수입하는 두바이유 가격보다
WTI, Brent를 언급하여 유가가 굉장히 상승했다고 발표하는 것은 조금 미심쩍다.
내가 과거 얼핏 들었던 기억으로는 70%이상의 원유를 두바이에서 수입한다고 한다. 따라서 두바이유의 기름값이 우리 경제가 민감한거지 WTI나 Brent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과거를 살펴보더라도 두바이유가 WTI나 Brent보다 가격은 항상 낮았고 또한 WTI, Brent가 가격이 많이 뛸때도 두바이유는 비교적 안정적일 때가 많았다. 나라에서 기름값을 안낮추기 위해서 WTI나 Brent를 집중적으로 언급하는 것은 아닐까?

2. 왜 기름량을 표기할 때는 꼭 배럴(BBL)을 쓸까?
올해 정부가 단위를 통일하자고 해서 평,근,돈 등 우리나라 고유의 단위를 없앴다. 그걸 사용하면 벌금도 낸다. 그런데 왜 기름은 BBL 이라는 표기를 고집할까?

배럴을 한번 뜯어보자.
1배럴은 약 158.9 리터이다.
그러니까 두바이유가 78달러를 넘었다고 하면 158.9 리터에 78달러가 넘은 것이다.

오늘 환율로 계산을 해 보자.

1배럴 * 78.59달러 * 918원 = 72,177원이다
즉 원유 158리터에 72,177원이라는 이야기다.

72,177원 / 158.9리터 = 454.22원

즉, 원유 1리터는 454원이라는 이야기다.
우리가 생활에서 받아들이는 1600원, 1500원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물론, 원유에서 각종 가공을 하니 가공비가 들어갈 것이고 정유회사도 이익도 있을 것이고
나라에서 부과하는 세금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3-4배는 아닐 것이다.
아마도 뉴스에서 두바이유 값이 1리터에 454원을 넘었다고 발표하면 우매한 국민들이 바로바로
계산을 통해서 현실의 기름값과 비교할까봐 배럴이라는 애매한 단위를 사용하는 것은 아닐까?

도량단위를 통일하자고 그렇게 주장하니 배럴로 리터로 바꾸어서 표기하고
골프의 야드도 미터로 바뀌어서 표기하자.
그래야 일관성이 있지 않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