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니, 여기가 무슨 아파트라고요?”
이름이 너무 긴 아파트, 생활 속 불편 초래
요즘 아파트 이름을 보면 한두 단어로 끝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지역명에 건설사 이름, 브랜드, 그리고 ‘센트럴’, ‘로얄’, ‘더테라스’ 같은 고급어휘까지 더해지다보니
이름이 20자 이상 되는 경우도 흔하죠.
우연히 아파트 이름을 듣다보면 '왜 이렇게까지 길어야 하나'라는 생각이 참 많이 듭니다.
그냥 어느 동네에 있는 현대아파트, 우성아파트, 대우아파트, 삼성아파트 만 해도 충분한데 말이죠.
이처럼 긴 아파트 이름은 단순한 재미를 넘어 생활 속 불편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택배기사나 방문 기사는 주소를 헷갈려 잘못된 단지로 들어가거나, 아예 위치를 못 찾아 전화를 걸어오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또, 주민들도 아파트 주소를 외우기 어렵고 택시 기사도 헷갈려 하는 등의 일화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심지어 아파트 내 방송이나 안내문에서도 이름이 너무 길어 생략하거나 줄여 부르게 되는 해프닝도 빈번하죠.
이런 사례들이 많아지면서, 일부 주민들은 아파트 이름을 줄여 부르거나 ‘별칭’을 따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공문서·주소·계약서 상에서는 공식 명칭을 써야 하다 보니, 이름이 길수록 혼선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나라 아파트 중에서 이름이 유독 긴 아파트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이름이 긴 아파트는?
1.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빛가람대방엘리움로얄카운티1차
- 위치: 전남 나주시
- 이름 길이: 25자
- 특징: 지역 + 혁신도시명 + 건설사 + 브랜드 + 차수까지 포함되어 국내 최상위권 길이.
2. 초롱꽃마을6단지 GTX운정역 금강 펜테리움 센트럴파크
- 위치: 경기 파주시
- 이름 길이: 25자
- 특징: 신도시 브랜드와 교통 인프라(GTX), 건설사 브랜드가 모두 포함됨.
3. 동탄시범다은마을월드메르디앙반도유보라
- 위치: 경기 화성시
- 이름 길이: 20자
- 특징: 2개 건설사의 브랜드가 동시에 사용됨. 지역과 마을명까지 포함.
4. 이천증포3지구대원칸타빌2차더테라스
- 위치: 경기 이천시
- 이름 길이: 18자
- 특징: 지구명과 건설사, 단지 번호, 특화설계명을 모두 포함.
5. 가람마을10단지동양엔파트월드메르디앙
- 위치: 경기 파주시
- 이름 길이: 19자
- 특징: 단지명과 함께 두 건설사 브랜드를 모두 노출.
이름이 길어지는 이유는?
1. 지역명 + 마을명 강조
지역 대표성을 드러내기 위해 ‘동탄’, ‘운정’, ‘빛가람’ 같은 지역명이 거의 필수적으로 포함됩니다.
2. 브랜드 중복
공동 시공 시 두 건설사의 브랜드명이 모두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월드메르디앙반도유보라' 같은 조합이 대표적입니다.
3. 마케팅용 키워드 삽입
‘센트럴’, ‘로얄’, ‘더테라스’, ‘포레스트’ 등 고급 이미지를 주는 단어들이 상업적으로 삽입됩니다.
4. 단지번호 + 차수 표기
‘6단지’, ‘2차’, ‘3지구’ 등으로 구체적인 단지 정보까지 붙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름 길이가 주는 불편함
구분 | 실제 사례 |
택배 혼란 | 주소가 길고 유사한 아파트명이 많아 오배송 사례 다수 |
공문서 작성 | 주소 필기에 시간 걸리고 줄임말 작성 시 오류 발생 |
방송/안내 어려움 | 관리사무소 방송 시 이름 끝까지 다 말하기 어려움 |
주민 혼란 | 어린이나 고령자는 자신의 아파트 명칭을 외우기 어려움 |
아파트 이름이 단순히 브랜드 홍보와 지역성을 담는 것을 넘어서, 실생활에서 혼선을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서울시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아파트 명칭 사용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이름을 간결하게 줄이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습니다.
이름이 길다고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긴 영어명칭을 잔뜩 넣을 것이 아니라 우리 동네 특색을 담은
한글명칭을 간결하게 넣은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내 나라 내 땅인데 너무 긴 영어이름은 생소하지 않을까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아파트이름 #긴아파트이름 #아파트브랜드 #택배혼란 #주소불편
#아파트이름순위 #부동산이슈 #생활불편사례 #신도시아파트 #건설사브랜드
#광주전남빛가람 #운정GTX #동탄아파트 #부동산정보 #주거문화